하이키한의원
성조숙증이 정서와 심리에 주는 문제점 본문
성조숙증이 정서와 심리에 주는 문제점
-성조숙증 치료 이유-
성조숙증 하면 항상 '키'를 이야기합니다. 아무래도 성조숙증으로 인해 보는 직접적인 불이익이 있다면 역시나 '키'가 눈에 띄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또 반대로 키 성장부진의 하나로써 성조숙증을 바라보기 때문에 '성조숙증'하면 키를 떠올리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성조숙증이 단지 키에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성장기 아이는 신체 성장 뿐 아니라 정서 발달도 겪게 됩니다. 이 부분 또한 절대 가볍게 볼 수 없습니다. 아이의 정신 건강, 올바른 사고와 심리 상태는 성인 이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8년도 2월호에 게재된 논문인 '성조숙증 여아와 정상 발달 여아의 심리사회적 행동특성 비교'에서 우리는 성조숙증이 아이의 심리적 건강과 성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은 일반적인 시기보다 2년 이상 빨리 사춘기 발달이 진행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2년 정도 빠른게 무슨 문제가 있을까 의문을 가질 수 있지만 실제 나이로 이를 설명하면 와닿는 느낌이 많이 달라지게 됩니다.
표준 사춘기 시작 시기는 여자아이 만 10세 이후, 남자아이 만 12세 이후 입니다. 학년으로 따지면 초등학교 4학년 이후, 6학년 이후 입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들에게서 사춘기 이차성징 증상이 나타나는 건 크게 어색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보다 2년 빠른 시점은 이야기가 다릅니다. 여자아이 만 8세 이전, 남자아이 만 9세 이전에 사춘기 발달이 나타나는 경우를 성조숙증이라 합니다. 여자아이는 초등학교 1~2학년에 사춘기 발달이 진행된다는 말이죠. 이제 막 유치원에서 올라와 학교 적응하는 아이 말입니다.
아직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사춘기 변화를 받아들이기엔 너무 이릅니다. 그런데 이런 변화가 오면 신체 발달은 물론이거니와 정서적 문제도 발생하게 됩니다. 앞서 언급한 논문에 따르면 성조숙증 집단은 정상집단보다 우울, 사회적 위축 등의 내재화 문제와 공격성, 과잉행동 등의 외향성 문제를 더 많이 보인다고 합니다.
올바른 성장이란 건강한 신체 발달도 있지만 건강한 정신 함양도 있습니다. 어떤 어른인지 판단하는 기준에 우리는 '인성', '인격', '성격', '태도' 등의 단어를 사용하며 그 사람의 가치를 판단하곤 합니다.
너무 빠른 사춘기가 우리 아이의 정서 발달에도 영향을 준다면, 우리는 키 뿐만이 아니라 너무 많은 것을 잃게 됩니다. 성조숙증을 예방하고 치료해야하는 이유로 '키'를 많이 이야기하지만 그만큼이나 우리 아이들의 올바른 정서 발달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일입니다.
'성조숙증 > 성조숙증 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가 일찍 크는게 좋을까요? 키 성장기 흐름이 중요한 이유 (0) | 2020.02.24 |
---|---|
부모님이 빠른 사춘기를 경험했다면 자녀 성조숙증 위험은? (0) | 2020.01.23 |
[성조숙증 알기] 초등학생이 성호르몬 검사를 하는 이유 (0) | 2018.09.12 |
초등학생 생리하면 키 성장 멈출까?? (0) | 2018.09.10 |
여자아이 사춘기 시기와 이차성징 증상 (0) | 2018.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