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초등학생평균키 (5)
하이키한의원
초등학생 평균키와 평균몸무게 확인하고 성장계획짜기-우리 아이 성장은 어디에?- 아이들의 성장에는 흐름이라는게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 태어나면 산부인과에서 몸무게부터 키, 머리둘레 등등 이곳저곳 재보고 체크하며 아이의 성장 상태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커가면서 시기마다 아이가 잘 자라고 있는지 계속해서 검사합니다. 아이가 자기 몸 하나 가누기 힘들 땐 이런 미세한 성장 차이에도 굉장히 민감하게 느끼곤 하는데, 막상 아이가 좀 크고 나면 의외로 '그런가보다'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성장기 끝날 때까지 우리 아이들의 성장흐름은 계속 지켜봐야 합니다. 특히 키 성장의 기반을 만드는 초등학교 시기는 더욱더 신경써야 합니다. 이 때 성장 문제가 있다면, 또래 친구들과 너무나도 다른 성장흐름을 갖고 있다면 한 번은 되..
초등학생 우리 아이, 평균키까진 자랄 수 있을까요?-키 성장 목표 설정- 키가 크고 살집이 있는 아이들을 보면 어르신들은 '건강하겠다' 라고 말씀하십니다. 물론 아이가 꼭 겉모습이 '건장'하다고 해서 건강하리란 법은 없겠지만, 아무래도 키가 크고 체격이 있으면 건강한 '이미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키가 작으면 '허약'하다거나, 어디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걱정해보게 됩니다. 몇 살이 되면 어느정도 크고, 몇 학년이 되면 어느정도 성장한다는 기준은 많은데 우리 아이는 한참 모자른감이 있으니까요. 초등학생 우리 아이, 키 성장 목표를 성인 '평균키'로 잡는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요? 왜 목표가 고작 평균치냐, 흔히 말하는 180cm 이상은 목표로 잡아야하지 않냐고 반문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
초등학생 남여 평균키로 보는 사춘기-초등학생 사춘기 시기- 아이들한테 '몇 학년이니?' 물어보면 '초등학교 몇 학년이에요' 이렇게 말할 때와 '중학교 몇 학년이에요'라고 할 때 격차가 굉장히 크게 느껴집니다. 초등학생이라 하면 아직 어린 아이 같아보이고 중학생이라하면 성숙한 느낌이 들죠. 사회적 이미지도 있겠지만, 실제로 이 시기에 아이들은 사춘기를 겪으면서 신체 및 정서적으로 성숙해집니다. 당연히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몇 살 차이나지 않아도 그 외모에서부터 분위기가 많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같은 초등학생이라도 여자아이들이 유독 어른스러워 보입니다. 남자아이들은 고학년이 되어도 여전히 애들 같아보이죠.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날까요? 이번에는 초등학생 남여 평균키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가보도록 하겠..
2017년 초등학생 평균키 확인으로 성장진단하기-평균키로 우리아이 발달 체크- 다른 사람들과 나의 차이를 통해 조금 더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됩니다. 비교하지 않는, 나 만의 삶을 사는 것이 당연 중요하지만, 건강 그리고 성장에 있어선 비교를 통한 객관적 판단도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성장은 곧 건강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자라야할 키, 몸무게가 제대로 자라지 않거나 혹은 이상변화가 생긴다면 우리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비교의 기준은 타인 그리고 평균치입니다. 평균키와 평균몸무게는 성장하는 초등학생 아이가 신체적으로 특별한 문제를 안고 있는 건 아닌 지 알게 해주는 하나의 지표가 되곤합니다. 초등학교 학년별 평균키 남 여 1학년 121.6 120.6 2학년 127.8 12..
초,중,고등학생 연도별 평균키와 평균체중 살펴보기-평균키와 평균체중 비교- 내 키와 몸무게는 어디에 속할까, 평균키와 평균체중을 찾아보는 이유일 것 입니다. 조금 더 현실적으로는 '내가 평균은 되겠지'하는 생각으로 평균키와 몸무게를 찾아볼 텐데, 매년 교육부에서 표본 조사를 실시해 통계와 분석 결과를 내놓곤 합니다. 그리고 그 수치를 바탕으로 우리는 여러가지 데이터를 뽑아내게 됩니다. 교육부에서 2017년에 발표한 통계는 2016년도 표본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최근 1~2년과 5년, 10년 전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먼저 기준이되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과 여학생의 2016년 평균키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6년 초,중,고 학생 평균키 구분 성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