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성장장애/성장부진 해결하기 (62)
하이키한의원
초등학생 평균키와 평균몸무게 확인하고 성장계획짜기-우리 아이 성장은 어디에?- 아이들의 성장에는 흐름이라는게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 태어나면 산부인과에서 몸무게부터 키, 머리둘레 등등 이곳저곳 재보고 체크하며 아이의 성장 상태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커가면서 시기마다 아이가 잘 자라고 있는지 계속해서 검사합니다. 아이가 자기 몸 하나 가누기 힘들 땐 이런 미세한 성장 차이에도 굉장히 민감하게 느끼곤 하는데, 막상 아이가 좀 크고 나면 의외로 '그런가보다'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성장기 끝날 때까지 우리 아이들의 성장흐름은 계속 지켜봐야 합니다. 특히 키 성장의 기반을 만드는 초등학교 시기는 더욱더 신경써야 합니다. 이 때 성장 문제가 있다면, 또래 친구들과 너무나도 다른 성장흐름을 갖고 있다면 한 번은 되..
키 잘 크는 시기는 언제이며, 어떤 성장관리를 해야할까?-키성장골든타임에 해야할 일- 아이는 언제 많이 클까요? 우리 부모님들 입장에서 아이들이 부쩍 컸다고 느낄 때는 사춘기 때가 아닐까 합니다. 초등학생 때까지는 엄마아빠보다 키도 작고 여전히 어린이 같아보였는데 어느새 엄마아빠 키를 넘어서 어른 처럼 보이기 시작하니 그 때 많이 큰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데 정말 드라마틱하게 자라는 건 사춘기 이후가 아니라 그 이전입니다. 우리 아이들 막 태어났을 때는 정말 작습니다. 출생 시 평균키는 약 50cm 정도 됩니다. 그리고 1년 정도 지나면 75cm 정도가 됩니다. 1년에 25cm가 자라는게 상상이 될까요? 재밌게도 이미 우리 아이들은 이 놀라운 일을 경험했습니다. 그리고 성장은 점점 우리가 아는 수준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E6Fg/btqCIDO7LwT/8m1XO0Qqq5kHtBbkKJxwU1/img.png)
현재 목표로 하는 예상키는 몇 cm인가요? -최종키를 키우려면?- 아이가 태어나면 부모님들께서는 아이의 미래를 그려보곤 합니다. 우리 아이는 커서 무엇이 될까, 또는 무엇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등 각자의 바람과 희망을 담곤 합니다. 그건 직업도 있고 방향성 있는 삶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여러 바람들 가운데 아이의 성장, 그 중에서도 '키' 또한 바람과 목표를 갖는 요소가 되곤 합니다. 키가 우리 인생의 전부는 아닙니다. 무조건이란 말이 어울리지 않는 게 바로 키 입니다. 크면 좋지만 그렇다고 꼭 커야만 되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그런 생각도 듭니다. 키가 중요하진 않지만 우리 아이는 컸으면, 넉넉했으면 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어차피 우리 아이에게 성장기회가 주어졌다면 나 때와는 다른 더 나은 성장관리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74agB/btqCwW1z2Vf/QLRDsOzpSFqjKyuZGkJIEK/img.png)
성장부진이 의심될 때 해야할 대처법 -성장부진을 극복하려면- 매 순간마다 아이의 키에 대해 걱정할 수는 없지만, 몇몇 상황에서 아이 키 성장 고민이 증폭되곤 합니다. 예를 들면 초등학교 입학식이나 운동회 아니면 일상에서 아이가 친구들하고 같이 있을 때와 같은 상황에서 말입니다. 말 그대로 비교가 될 때 키 성장 고민은 커집니다. 또래 아이들보면 우리 아이도 저 정도는 키가 커야할 것 같은데 유독 왜소해보입니다. 성장부진의 기준을 딱히 모르더라도 눈으로 확인 가능한게 우리 아이 성장 상태입니다. 특히 또래 친구들과 비교해보면 확연히 티가 납니다. 여기에 아이 부모님들끼리 대화하면서 성장 정보 공유하면 더욱이 확신이 들곤 합니다. 성장부진의 기준 -매년 4cm 이하로 크는 경우 -평균키에서 10cm 이상 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ZgLB/btqBPXnErqC/SJxr4NG4h9rBGszwSeoXVk/img.png)
키 작은 남자아이, 사춘기까지 기다리면 안되는 이유 -남자 성장부진 해결은- 요즘은 이런 이야기를 해도 크게 공감을 안하실 수도 있겠지만, 예전에는 키가 작은 남자아이들에게 항상 하는 이야기가 '남자는 나중에라도 큰다', '네 삼촌은 군대가서도 컸다' 등이었습니다. 아들 성장 고민에 대해 조금이라도 내비치기만 하면 나중에 알아서 다 클텐데 벌써부터 유난이라고 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런데 그게 아니죠. 유난이 아니라 정확한 고민이었고 걱정이었고 키 성장 관리 시작을 위한 훌륭한 신호였습니다. 부모님께서 이상하다 여기는 그 '느낌'이 틀리지 않았다는 겁니다. 지금부터라도 뭔가를 해야할 것 같은데, 나중으로 미뤘다가 안 크면 뒤가 없는데 등등의 생각들이 합리적이라는 겁니다. 키 작은 남자아이, 키 작은 우리 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oAU3/btqBCojG95f/WSKagHmGHSmAXNGDkH37p0/img.png)
초등학교 때 하면 좋은 키크는방법 3가지 -초등학생 키성장관리- 키 성장관리를 집중적으로 해야하는 시기가 있다면 바로 초등학교 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춘기 이전 초등학교 시기를 키 성장의 골든타임이라고 할 만큼 이 때 키 성장관리에 집중하고 키를 키우는데 노력해야 합니다. 키가 잘 자라는 시기이기도 하면서 사춘기 이후 키 성장세가 둔화되기 때문에 그 전에 미리 키를 키울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이기 때문입니다. 키성장골든타임이나 다른 이유를 떠나서라도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들이라면 이 때 성장관리에 많은 관심을 보이십니다. 아이들이 해가 다르게 쑥쑥 커가는게 눈으로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며, 특히나 초등학교 입학하게 되면 또래 아이들과 체격 차이가 나는 걸 눈으로 확인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이 자연스럽..
성장부진에 필요한 건 시간? 키크는약?-지금 필요한 성장관리- 성장부진이라는 말, 아이 키우는 부모님에겐 가슴이 철렁 내려 앉는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 아이들 건강하게 잘 자라는게 목표고 또 이를 위해 옆에서 도와주는 게 부모의 몫이라고 생각하면, 성장부진은 마치 나의 노력과 정성이 부족해 생긴 결과라고 느껴져 때론 미안함과 죄책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1년에 4cm 이하로 키가 자라는 아이, 학급에서 그리고 학년에서 키로 줄을 세웠을 때 앞 쪽에 위치하는 아이, 성장호르몬이 부족한 아이 등 성장부진을 눈치챌 수 있는 지표들이 존재합니다. 가정에서 알 수 있는 것도 있고 정확한 검사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정확한 성장부진 여부를 떠나서 키가 남들보다 좀 작고 또래보다 성장..
초등학생 2~3학년 아이, 다가올 사춘기 관리하는 법-사춘기 전 성장관리- 초등학교 2~3학년 아이, 아직 앳된 티가 다 사라지지 않은 그런 시기에 서있습니다. 그래도 나름 학교도 다니고 이제 적응도 하다보니 마냥 어릴 때처럼 교육하고 지도하지 않고 단호할 땐 단호하고 유연할 땐 유연하게 대처합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은 1년 단위로 키가 많이 큽니다. 평균적으로 1년에 5~6cm 정도씩 자라는 게 일반적입니다. 요즘 아이들 빠르다고 하니 그보다 더 많이 자란다는 주변 이야기도 들리곤 합니다. 잘 자란다면 아무 걱정 없겠지만, 이 시기엔 의외로 성장관리에서 여러 애로사항을 겪곤 합니다. 1년에 남부럽지 않게 잘 자라던 아이가 갑자기 4cm이하로 더디게 자라는 경우도 있고, 주변에 우리 애보다 두 세 ..
키 성장에 좋은 운동과 나쁜 운동, 어떻게 고를까-성장기 운동 선택- 애들 키 크는데 운동도 시켜줘야한다고 주변에서 이야기합니다. 누구네 집은 줄넘기 시켰더니 키가 컸더라, 매일 밤마다 아빠랑 농구한다더라 그런 이야기가 들려옵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 하고 집에 오는 길에 우리 동네 태권도장에 '키크는운동'이라고 떡하니 적혀있으니 솔깃합니다. 키 성장에 운동은 필요합니다. 운동은 건강 그리고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본적으로 아이들 체중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아이들은 자기 건강을 생각해서 먹기보단 '맛'과 '양'에 더 집착합니다. 어린 아이들보면 가끔 엄마아빠가 말릴 때까지 꾸역꾸역 먹는 경우도 있을 정도죠. 소아비만이 문제가 되는 요즘에 운동은 비만을 예방하고 건강을 챙겨주는 좋은 활동이 됩니다..
성장기 뚱뚱한 아이, 살 안찌는 아이-어린이 식습관과 소화문제- 아이들이 밥을 잘 먹으면 참 보기 좋습니다. 한창 키가 커야할 아이들인 만큼 뭐든 잘 먹으면 당연히 보는 입장에서는 뿌듯할겁니다. 하지만 이 먹는 문제가 생각보다 민감하고 어렵습니다. 뚱뚱한 아이, 소아비만은 당연히 문제가 있을 거라 추측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성장기 성장부진의 원인 중 하나가 소아비만입니다. 키 성장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때론 성조숙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해 키 성장기를 위협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아이가 살이 안찌면 아무 걱정 없을까, 라고 하면 이건 이것대로 걱정입니다. 분명 또래 애들 만큼 밥을 먹는 것 같고 나름 고단백의 음식들로 잘 구성해서 준 것 같은데, 아이 살이 찌지 않습니다. 오히려 마른 느낌이 ..